유니코드 3

[코드업] 파이썬 기초 100제 6074

*ord 하나의 유니코드 문자를 나타내는 문자열이 주어지면 해당 문자의 유니코드 코드 포인트를 나타내는 정수를 돌려줍니다. 예를 들어, ord('a') 는 정수 97 을 반환하고 ord('€') (유로 기호)는 8364 를 반환합니다. 이것은 chr() 의 반대입니다. 내장 함수 — Python 3.10.0 문서 내장 함수 파이썬 인터프리터에는 항상 사용할 수 있는 많은 함수와 형이 내장되어 있습니다. 여기에서 알파벳 순으로 나열합니다. abs(x) 숫자의 절댓값을 돌려줍니다. 인자는 정수, 실수 또는 __ docs.python.org 영문 소문자(a ~ z) 1개가 입력되었을 때, a부터 그 문자까지의 알파벳을 순서대로 출력해보자. 예시 c = ord(input()) t = ord('a') while t

[코드업] 파이썬 기초 100제 6031

10진 정수 1개를 입력받아 유니코드 문자로 출력해보자. 예시 c = int(input()) print(chr(c)) #c에 저장되어 있는 정수 값을 유니코드 문자(chracter)로 바꿔 출력한다. 참고 입력은 기본적으로 모두 문자열로 입력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. 따라서, 입력 값이 문자/문자열/정수/실수인지에 따라서 먼저 정확하게 변환시킨 다음에 사용하거나 계산하는 것이 좋다. 예를 들어 123 이 입력 되었다고 한다면, 이건 정수일까? 문자열일까? 조금 생각해보면, 입력된 것만 보고는 그 값이 어떤 데이터인지 알 수 없다는 것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. 따라서, 그 입력 값을 어떻게 해석하고 변환할 지에 대해서 명확하게 작성해 주어야 하는 것이다. chr( )는 정수값->문자, ord( )는 문자..

[코드업] 파이썬 기초 100제 6030

영문자 1개를 입력받아 10진수 유니코드(Unicode) 값으로 출력해보자. 예시 n = ord(input()) print(n) 참고 n = ord(input()) #입력받은 문자를 10진수 유니코드 값으로 변환한 후, n에 저장한다. ord( ) 는 어떤 문자의 순서 위치(ordinal position) 값을 의미한다. 실제로 각각의 문자들에는 연속된 정수 값이 순서에 따라 부여 되어 있다. A:65, B:66, C:67 .... ord(c) : 문자 c 를 10진수로 변환한 값 컴퓨터로 저장되고 처리되는 모든 데이터들은 2진수 형태로 정수화 되어야 하는데, 컴퓨터에 문자를 저장하는 방법으로 아스키코드(ASCII Code)나 유니코드(Unicode)가 자주 사용된다. 예를 들어, 영문 대문자 'A'는 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