코드업/파이썬 기초 100제 49

[코드업] 파이썬 기초 100제 6038

정수 2개(a, b)를 입력받아 a를 b번 곱한 거듭제곱을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보자. 예시 ... c = int(a)**int(b) print(c) 참고 python 언어에서는 거듭제곱을 계산하는 연산자(**)를 제공한다. 일반적으로 수학 식에서 거듭제곱을 표현하는 사용하는 서컴플렉스/케릿 기호(^)는 프로그래밍언어에서 다른 의미로 쓰인다. 입력 2개의 정수(a, b)가 공백으로 구분되어 입력된다. 출력 a를 b번 거듭제곱한 값을 출력한다. 입력 예시 2 10 출력 예시 1024 a, b = input().split() c = int(a)**int(b) print(c)

[코드업] 파이썬 기초 100제 6033

문자 1개를 입력받아 그 다음 문자를 출력해보자. 영문자 'A'의 다음 문자는 'B'이고, 숫자 '0'의 다음 문자는 '1'이다. 예시 ... print(chr(n+1)) 참고 숫자는 수를 표현하는 문자로서 '0' 은 문자 그 자체를 의미하고, 0은 값을 의미한다. 힌트 아스키문자표에서 'A'는 10진수 65로 저장되고 'B'는 10진수 66으로 저장된다. 따라서, 문자도 값으로 덧셈을 할 수 있다. 어떤 문자의 값에 1을 더하면 그 다음 문자의 값이 된다. 입력 문자 1개가 입력된다. 출력 그 다음 문자를 출력한다. 입력 예시 a 출력 예시 b c = input() n = int(ord(c)) print(chr(n+1))

[코드업] 파이썬 기초 100제 6031

10진 정수 1개를 입력받아 유니코드 문자로 출력해보자. 예시 c = int(input()) print(chr(c)) #c에 저장되어 있는 정수 값을 유니코드 문자(chracter)로 바꿔 출력한다. 참고 입력은 기본적으로 모두 문자열로 입력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. 따라서, 입력 값이 문자/문자열/정수/실수인지에 따라서 먼저 정확하게 변환시킨 다음에 사용하거나 계산하는 것이 좋다. 예를 들어 123 이 입력 되었다고 한다면, 이건 정수일까? 문자열일까? 조금 생각해보면, 입력된 것만 보고는 그 값이 어떤 데이터인지 알 수 없다는 것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. 따라서, 그 입력 값을 어떻게 해석하고 변환할 지에 대해서 명확하게 작성해 주어야 하는 것이다. chr( )는 정수값->문자, ord( )는 문자..

[코드업] 파이썬 기초 100제 6030

영문자 1개를 입력받아 10진수 유니코드(Unicode) 값으로 출력해보자. 예시 n = ord(input()) print(n) 참고 n = ord(input()) #입력받은 문자를 10진수 유니코드 값으로 변환한 후, n에 저장한다. ord( ) 는 어떤 문자의 순서 위치(ordinal position) 값을 의미한다. 실제로 각각의 문자들에는 연속된 정수 값이 순서에 따라 부여 되어 있다. A:65, B:66, C:67 .... ord(c) : 문자 c 를 10진수로 변환한 값 컴퓨터로 저장되고 처리되는 모든 데이터들은 2진수 형태로 정수화 되어야 하는데, 컴퓨터에 문자를 저장하는 방법으로 아스키코드(ASCII Code)나 유니코드(Unicode)가 자주 사용된다. 예를 들어, 영문 대문자 'A'는 ..

[코드업] 파이썬 기초 100제 6029

16진수를 입력받아 8진수(octal)로 출력해보자. 예시 a = input() n = int(a, 16) #입력된 a를 16진수로 인식해 변수 n에 저장 print('%o' % n) #n에 저장되어있는 값을 8진수(octal) 형태 문자열로 출력 참고 8진법은 한 자리에 8개(0 1 2 3 4 5 6 7)의 문자를 사용한다. 8진수 10은 10진수의 8, 11은 9, 12는 10 ... 와 같다. 입력 16진 정수 1개가 입력된다. 출력 8진수 형태로 출력한다. a = input() n = int(a, 16) print('%o' % n)

[코드업] 파이썬 기초 100제 6027

10진수를 입력받아 16진수(hexadecimal)로 출력해보자. 예시 a = input() n = int(a) #입력된 a를 10진수 값으로 변환해 변수 n에 저장 print('%x'% n) #n에 저장되어있는 값을 16진수(hexadecimal) 소문자 형태 문자열로 출력 참고 10진수 형태로 입력받고 %x로 출력하면 16진수(hexadecimal) 소문자로 출력된다. (%o로 출력하면 8진수(octal) 문자열로 출력된다.) 10진법은 한 자리에 10개(0 1 2 3 4 5 6 7 8 9)의 문자를 사용하고, 16진법은 영문 소문자를 사용하는 경우에 한 자리에 16개(0 1 2 3 4 5 6 7 8 9 a b c d e f)의 문자를 사용한다. 16진수 a는 10진수의 10, b는 11, c는 12..

[코드업] 파이썬 기초 100제 6019

"연도.월.일"을 입력받아 "일-월-연도" 순서로 바꿔 출력해보자. 참고 y, m, d = input().split('.') 과 같이 변수들을 순서대로 나열하면 구분기호를 기준으로 잘라 순서대로 저장한다. 입력 연도, 월, 일이 닷('.')으로 구분되어 입력된다. 출력 대시(마이너스 기호)를 구분기호로 사용해서 일-월-연도로 바꿔 출력한다. 입력 예시 2020.3.4 출력 예시 4-3-2020 y, m, d = input().split('.') print(d, m, y, sep='-')

[코드업] 파이썬 기초 100제 6018

24시간 시:분 형식으로 시간이 입력될 때, 그대로 출력하는 연습을 해보자. 예시 a, b = input().split(':') print(a, b, sep=':') 와 같은 방법으로 가능하다. 참고 input().split(':') 를 사용하면 콜론 ':' 기호를 기준으로 자른다. print(?, ?, sep=':') 를 사용하면 콜론 ':' 기호를 사이에 두고 값을 출력한다. sep 는 분류기호(seperator)를 의미한다. 입력 시(hour) 분(minute)이 콜론(':')으로 구분되어 한 줄로 입력된다. 출력 입력받은 시간 형식과 똑같이 "시:분" 형태로 출력한다. 입력 예시 예시 복사 3:16 출력 예시 3:16 a, b = input.split() print(a, b, sep = ":")

[코드업] 파이썬 기초 100제 6016

공백을 두고 문자(character) 2개를 입력받아 순서를 바꿔 출력해보자. 참고 ... print(c2, c1) 와 같은 방법으로 출력하면, c1과 c2에 저장된 값이 공백을 두고 순서가 바뀌어 한 줄로 출력된다. print( ) 안에서 쉼표(,)를 찍어 순서대로 나열하면, 그 순서대로 공백을 두고 출력된다. 입력 2개의 문자가 공백으로 구분되어 입력된다. 출력 2개의 문자를 순서를 바꿔 한 줄로 출력한다. 입력 예시 a b 출력 예시 b a a, b = input().split() print(b, a)